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by 굿지 2022. 8. 5.
반응형

우리나라 전체 면적 중에서 수도권에 대부분의 인구와 산업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면서, 수도권을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 권역의 특성별로 학교, 공공청사, 연수시설, 공업 등의 인구집중 유발시설과 개발사업에 대한 차등적인 규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3개의 권역은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으로 나뉩니다. 오늘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이란 무엇인지와 현황(범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과밀억제권역

 

과밀억제권역이란 

 

인구와 산업이 지나치게 몰려 있거나 몰릴 우려가 있어 제한을 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말합니다. 과밀억제권역에서의 규제가 가장 심합니다. 과밀억제권역에서 인구집중 유발시설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건축비의 10%에 해당하는 과밀부담금을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법인 설립 시에는 자본금을 기준으로 기본세율의 3배에 달하는 중과세를 부담합니다. 또한 법인 설립 후 5년 이내에 과밀억제권역 내에서 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에도 취득세가 중과됩니다. 따라서 법인 설립 후 5년이 지나거나 설립 후 5년이 지난 타 법인을 인수하면 이러한 제한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과밀억제권역인 성장관리권역이나 자연보전권역에 법인을 설립하게 됩니다. 한때 부동산 법인이 인기를 끌면서 용인시, 안산시, 오산시 등에 비상주 사무실이 많이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과밀억제권역 현황(16곳)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단, 강화군, 옹진군, 서구 대곡동, 불로동, 마전동, 금곡동, 오류동, 왕길동, 당하동, 원당동, 인천 경제 자유구역 및 남동 국가산업단지 제외)

-의정부시, 구리시

-남양주시 중 호평동, 평내동, 금곡동, 일패동, 이패동, 삼패동, 가운동, 수석동, 지금동 및 도농동

-하남시, 고양시, 수원시, 성남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시흥시(단, 반월 특수지역 제외)

 

 

 

성장관리권역 

 

성장관리권역이란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이전하는 인구와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도시의 개발을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말합니다. 

 

 

성장관리권역 현황(15곳)

 

-인천광역시 중 강화군, 옹진군, 서구 대곡동, 불로동, 마전동, 금곡동, 오류동, 왕길동, 당하동, 원당동, 인천 경제 자유구역 및 남동 국가산업단지

-동두천시, 안산시, 오산시, 평택시, 파주시

-남양주시 중 별내동, 와부읍, 진건읍, 별내면, 퇴계원면, 진건읍 및 오남읍

-용인시 중 신갈동, 하갈동, 영덕동, 구갈동, 상갈동, 보라동, 지곡동, 공세동, 고매동, 농서동, 서천동, 언남동, 청덕도, 마북동, 동백동, 중동, 상하동, 보정동, 풍덕천동, 신봉동, 죽전동, 동천동, 고기동, 상현동, 성복동, 남사면, 이동면 및 원삼면 목신리, 죽릉리, 학일리, 독성리, 고당리, 문촌리

-연천군, 포천시, 양주시, 김포시, 화성시

-안성시 중 가사동, 가현동, 명륜동, 숭인동, 봉남동, 구포동, 동본동, 영동, 봉산동, 성남동, 창전동, 낙원동, 옥천동, 현수동, 발화동, 옥산동, 석정동, 서인동, 인지동, 아양동, 신흥동, 도기동, 계동, 중리동, 사곡동, 금석동, 당왕동, 신모산동, 신소현동, 신건지동, 금산동, 연지동, 대천동, 대덕면, 미양면, 공도읍, 원곡면,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양성면, 고삼면, 죽산면 두교리, 당목리, 칠장리 및 삼죽면 마전리, 미장리, 진촌리, 기솔리, 내강리

-시흥시 중 반월 특수지역 

 

 

 

자연보전권역 

 

자연보전권역이란

 

한강변의 수질과 녹지 등 자연환경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말합니다. 

 

 

자연보전권역 현황(8곳)

 

-이천시

-남양주시 중 화도읍, 수동면 및 조안면

-용인시 중 김량장동, 남동, 역북동, 삼가동, 유방동, 고림동, 마평동, 운학동, 호동, 해곡동, 포곡읍, 모현면, 백암면, 양지면 및 원삼면 가재월리, 사암리, 미평리, 좌항리, 맹리, 두창리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 광주시

-안성시 중 일죽면, 죽산면 죽산리, 용설리, 장계리, 매산리, 장 롱리, 장원리, 두현리 및 삼죽면 용월리, 덕산리, 율곡리, 내장리, 배태리 

 

 

 

반응형

댓글